신경근운동, 왜 거울부터 필요한가요?
무릎 부상 방지 동적 신경근 워밍업 프로그램을 소개한 글을 보셨겠지만,
“신경근운동은 관절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습관을 몸에 익히는 훈련입니다. 거울을 통해 내 골반-무릎-발목이 일직선이 되는지 확인하며, 관절 부하를 분산시키는 움직임을 배우게 됩니다.”
운동할 때 거울을 보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 시각적 피드백으로 골반·무릎·발목 정렬을 확인할 수 있고,
- 잘못된 움직임을 즉시 교정할 수 있으며,
- 관절에 가해지는 불필요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정렬이 올바르면, 관절 대신 근육과 인대가 부하를 분담해
통증 완화와 안정성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런지라는 동작을 하면서 거울을 보세요.
내 몸이 왼쪽처럼 골반 – 무릎 – 발목이 일직선이 되는지, 아니면 오른쪽처럼 꺽이는지를 살펴 보세요.
옆면에서도 거울을 보거나 영상을 찍어 보세요. 무릎이 발가락 위까지만 오면 됩니다. 무릎이 발가락 보다 더 많이 나갈 필요가 없습니다.

GLA:D 신경근운동은 어떻게 구성되었나요?
GLA:D 운동은 처음 시작 단계의 워밍업과 마지막 운동 정리 단계의 쿨다운을 제외하고, 5개의 운동 그룹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운동 그룹은 2개의 운동으로 구성되어, 총 10개의 운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동작은 난이도 조절이 가능해 고령자부터 활동적인 성인까지 모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몸통 안정성 운동 : 골반들기, 상체들기
- 신경근 조절 운동 : 뒤로 미끄러지기, 옆으로 미끄러지기
- 엉덩이 근력 운동 : 다리 벌리기, 다리 오므리기
- 무릎 근력 운동 : 무릎 펴기, 무릎 굽히기
- 기능적 동작 운동 : 앉았다 서기, 계단 오르기

영상으로 빠르게 감 잡기
GLA:D를 한국에 도입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계신 SNU서울병원 남용 팀장님이 만드신 영상입니다. 운동의 구성요소를 빨리 파악할 수 있고, 운동 시 주의할 점을 잘 설명하고 있는 영상입니다. SNU서울병원 유튜브에 들어가시면 레벨 2, 레벨 3 영상도 준비되어 있으니 참조하시면 됩니다.
설명이 필요하시다면, 이 영상이 도움이 됩니다.
남용 팀장님이 별도로 유튜브 채널도 만드셔서 영상을 만드셨네요. 여기에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이 있으니 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설명을 말로 해 주시고 계셔서 더욱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다 같이 함께하니 끝까지 할 수 있었습니다
골관절염으로 이미 통증이 있으신 분들께 이 영상을 보여 드리면,
보시는 것 만으로도 덜컥 겁이 난다고 하시더라구요.
저희가 김해시 보건소와 함께 GLA:D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해 본 적이 있었습니다.
12분이 참여하셨는데, 참여자분들의 연령대가 대부분 70대셨고, 80대도 계셨어요.
평생 처음 해 보는 운동이라 첫 날은 운동 10종 중에서 2개만 하는데 1시간 30분이 걸렸습니다.
모든 참여자가 12회차까지 꾸준히 참석하셨고, 지금도 가끔 경로당에서 함께 하신다고 합니다.
혼자 하는 것보다는 같이 해야 끝까지 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목소리가 GLA:D 확산의 출발입니다.
거울과 약간의 공간만 있으면 집에서도 충분히 따라 하실 수 있지만,
가능하다면 전문 물리치료사와 함께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GLA:D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여러분의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영상 링크 공유, 댓글, 문의는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