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들면 무릎은 당연히 아픈 거 아닌가요?
김OO(66세)씨는 퇴직 후 등산을 자주 다니고 있는데, 가끔 무릎이 붓고 걷는 게 힘들어지는 날이 늘어났습니다. 이제 나이 들어서 골관절염이 오나 싶어 주변 지인들에게 물어 봤습니다.
돌아오는 대답들은 “나이들면 다 그래요”, “무릎 연골을 오래 쓰다 보면 마모되는거 어쩔 수 없어” 같은 대답들입니다.
🙍🏻♂️무릎 연골을 아껴서 쓰라고 하던데?
정OO(50세)씨는 아마추어 러너입니다. 주변에서는 그 나이에 매일 뛰면 무릎 나간다며 말립니다.
예전에 러닝을 막 시작했을 때는 간혹 무릎이 아프곤 했는데,
지금은 무릎이 아프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없어서
주변 사람들에게 걱정하지 말라고 했지만 내심 좀 찜찜합니다.
체중도 잘 빠지고, 뛰는 게 너무 즐겁기도 한데, 연골이 마모된다고 하니 걱정이 안 되는 것은 아닙니다.
👻잘못된 상식 : 연골에 내구 연한이 있다
위의 2분의 질문은 공통적으로 연골에 내구연한이 있으니 아껴서 사용해야 하고,
나이 들면 내구연한이 다 되어 어쩔 수 없이 무릎 아플 수 밖에 없다는 통념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타이어처럼 오래 쓰면 마모되고, 파열되는게 당연하다는 통념이죠.
이 통념이 약 20년 전에는 의료계마저 지배했지만 지금은 골관절염을 연골 마모질환이라고 생각하는 정형외과 의사 선생님은 없습니다.
수많은 연구를 통해 “연골의 마모는 골관절염의 진행 경과이지 원인이 아니다”라는 것이 현대 의학의 결론입니다.
달리기는 골관절염에 해로운가?
11만 명 메타분석 결과, 달리기는 무릎 연골에 해롭지 않고, 무릎관절을 보호합니다.
얼마전 유퀴즈에도 나오신 유명한 “달리는 재활의학과 의사 선생님”, 서울대병원 정세희 교수님도 이 점을 엄청 강조하세요. 정세희 교수님의 블로그를 소개해 볼께요. 달리기가 퇴행성 관절염, 무릎관절염을 유발한다는 믿음
취미로 달리는 아마추어 러너, 전문 엘리트 러너, 달리기를 하지 않고 주로 앉아서 생활하는 그룹의 골관절염 발병률을 비교한 연구입니다. 17개 연구에서 11만명 이상의 참여자 데이터를 추적해서 수집한 메타 분석 연구였습니다.
결과는 아마추어 러너의 골관절염 발생 비율은 3.5%, 전문 엘리트 러너는 13.3%, 달리기를 하지 않고 앉아서 생활하는 사람의 비율은 10.2%였습니다.

취미로 하는 달리기는 무릎 연골에 해롭지 않고, 오히려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엘리트 러너의 골관절염 비율이 높은 것은 달리기 때문인지, 무릎 부상 때문이지는 확실하지 않다.
골관절염 이니셔티브 추적 연구 : 골관절염 환자의 통증 개선과 진행 억제에 도움이 됨.
같은 블로그에 나오는 “이미 무릎 골관절염이 있으면 달리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에 대한 연구도 흥미롭습니다. 이 연구는 미국 골관절염 이니셔티브 (OAI) 라는 유명한 추적 관찰 연구에서 나왔습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가 골관절염의 예방을 위해 11년간 추적 관찰한 연구입니다.
골관절염의 증상은 있으나 골관절염 진단은 받지 않은 환자(아프지만 방사선상 KL-2등급 미만의 환자)와
골관절염 증상도 있고 진단도 받은 환자(아프고 방사선상 KL-2 등급 이상의 환자)를
약 5천명 선발하여 11년간 추적관찰하는 연구입니다.
KL-2등급 이상을 받은 50세 이상 환자 중
정기적으로 달리기를 하는 환자와 달리기를 하지 않는 환자들을 비교했습니다.
달리기를 하는 그룹이 달리기를 하지 않는 그룹 대비해서
골관절염이 더 악화되지 않았고, 통증은 더 개선되었다는 연구 결과입니다.
무릎 관절염이 있어도 달리기를 계속해도 된다.
50세가 넘었고 무릎 골관절염이 있어도 달리기로 인해 골관절염의 진행 속도가 빨라지지는 않는다.
🏥국제골관절염 연구학회의 골관절염 정의 : 골관절염은 대사질환이다.
골관절염 연구의 최고 정점은 국제 골관절염 연구학회입니다.
과학자들이라 말이 엄청 어렵지만 인용을 해 봤습니다.
골관절염은 움직이는 관절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disease)으로, 미세 및 거시적 손상으로 인해 세포 스트레스와 세포외 기질의 분해가 발생하며, 이는 선천성 면역계의 염증성 경로를 포함한 부적응적 수리 반응을 활성화합니다. 이 질병은 먼저 분자적 이상(관절 조직 대사 장애)으로 시작되어 해부학적 및/또는 생리학적 이상(연골 분해, 골 재형성, 골극 형성, 관절 염증 및 정상 관절 기능 상실)로 진행되며, 환자의 고통(illness)은 정점으로 치닫게 됩니다. 증상은 관절 통증, 부기 및 경직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는 활동 제한, 참여 제한, 수면 방해로 이어집니다.
이 정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릎 관절에 대한 설명이 좀 필요합니다. 관절의 대사에 대한 설명은 다음 글을 참좋해 주세요. 하여간 한마디로 정의하면 ”골관절염은 대사질환이다“ 입니다.
- 골관절염은 관절 조직 전체에 대사 장애가 발생하면서 시작된다.
- 대사 장애의 결과로 연골이 분해되고, 뼈가 지마음대로 자라고, 염증 등이 발생한다.
- 결국 정상 관절의 기능인 힘의 전달과 충격의 완충이라는 제 기능을 잃게 된다.
- 이로 인해 통증과 더불어 신체활동이 제한되는 장애를 가지게 된다.
대사질환이라고 하면 떠 오르는 질병하면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같은 질병이 떠오르시지 않나요?
이 같은 질병들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방법은 어떤가요? 통증을 없애기 위해서 약을 먹나요?
아니죠. 미리 관리하라고 권장하죠? 운동, 식이 개선, 체중 조절 같은 자가 관리가 떠오르시죠?
더 빨리 진단되고 더 빨리 개입하고 관리할수록 좋다는 통념이 자연스럽게 생깁니다.
국제 골관절염 연구 학회가 골관절염을 대사 질환이라고 정의한 이유는
더 빨리 조기에 진단되고
더 빨리 개입하고 관리하면
위험성을 최대한 낮출 수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연골 마모 질환이라는 통념이 무서운 이유
연골 마모 질환이라는 통념이 정말 무서운 이유는 관절의 대사 관련 글을 읽으시면 더 많이 이해됩니다.
연골 마모 질환이라는 통념은 아프기 시작하면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는 결론으로 우리를 몰아갑니다.
의사 선생님이 운동하라 하면, 우리도 모르게 운동의 범위를 좁히게 됩니다.
관절에 하중을 주지 않는 운동이 뭐가 있을까 이런 생각을 하게 되고요.
그런데 연골 대사에 가장 위험한 적은 연골에 하중을 주지 않는 것입니다. 연골은 움직여야 대사 활동이 진행됩니다.

연골 마모 질환이라는 통념의 위험성은 “관절과 연골은 어떻게 대사하는지”를 이해하시면, 더 많이 이해할 수 있으실 것 같아요. 👉 관련된 글 보러가기 : “관절과 연골은 어떻게 대사하는가? “
결론 및 다음 편 예고
보통 사람들이 당연하게 여기는 “연골 아껴 쓰기”가 얼마나 위험한 생각인지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국제 골관절염 연구학회의 골관절염 백서에서 강조하는 골관절염은 대사질환이라는 정의를 꼭 기억해 주세요.
다음 편에서는 국제골관절염 연구학회에서 ‘왜 골관절염이 심각한 질환’으로 정의하는지 소개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 연골 마모는 완전히 틀린 이야기인가요?
A: 연골 손상은 진행 과정이지 골관절염의 원인이 아닙니다. 골관절염을 대사질환으로 이해하고, 조기 개입이 필요합니다.
Q2: 골관절염이 있어도 달릴 수 있나요?
A: 네, 연구에서는 달리기가 증상을 악화시키지 않고 통증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Q3: ‘대사 질환’이라는 용어는 왜 중요할까요?
A: 당뇨·고혈압처럼 생활습관·조기 관리로 증상과 진행을 줄일 수 있는 접근이기 때문입니다.
[국제골관절염 연구학회(OARSI) 골관절염 백서 자세히 보기 시리즈]
- 1편. 골관절염은 연골이 닳아서 생기는 질병이 아닙니다.
- 2편. 왜 골관절염은 ‘심각한 질환’인가?
- 3편. 골관절염은 왜 ‘기다리는 병’이 되었나?
- 4편. 미국 정부가 움직인다 – 골관절염을 되돌리기 위한 실험
- 5편. 지금 필요한 자세 : 통증을 신호로 받아들여야